책소개
세상의 모든 것은 ‘수(數)’로 되어 있다대한민국 대표 수학자들을 매료시킨 수학의 세계세상을 ‘수(數)’로 이해하는 수학자들의 눈에는 세상이 어떻게 보일까? 영화 [매트릭스]처럼 프로그래밍 된 가상현실까지는 아니더라도, 만물이 작동하고 존재하는 이면에는 수학적 질서가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모든 것의 수다』는 해가 뜨고 지고 새가 무리지어 나는 자연현상부터 셰익스피어가 즐겨 사용하는 단어의 개수, 가위바위보와 경매와 같은 인간행동의 예측, 생체리듬을 비롯한 생명현상까지 모두 수학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노력한 수학자들의 결과물을 담고 있다. 대한민국을 대표할 수 있는 10명의 수학자들이 어떤 수학이론 혹은 난제에 매료되었고, 어떤 연구를 해왔는지 알 수 있는 이 책은 수학이 우리 곁에 얼마나 가까이 있고, 세상을 이해하는 흥미로운 관점이 될 수 있는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자)라는 말처럼 수학과는 담을 쌓았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지만, 수의 영향력은 사실 더 커지고 있다. 일상적으로 쓰고 있는 컴퓨터 역시 결국 수학으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AI의 발전과 더불어 수학적 사고가 능력의 중요한 조건이 되어가고 있다. 아무리 수학이 어렵더라도 그 영향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면 무작정 피할 것이 아니라 수학적 사고로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보면 어떨까? 이 책은 수학을 어려워하는 독자들도 그런 관점에서 사고해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준다. 카오스재단은 ‘과학, 지식, 나눔’을 모토로 대중이 과학을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즐기게끔 노력하는 단체다.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 과학 주제를 선정하고 10회에 걸쳐 강연한다. 2015년 상반기에 ‘기원’이라는 주제로 시작하여, ‘빛’, ‘뇌’, ‘지구’, ‘물질에서 생명으로’, ‘미래과학’이라는 주제를 다뤘고, 이번에는 수학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강연을 진행했다.‘렉처 사이언스 KAOS’ 일곱 번째 책 『모든 것의 수다』는 카오스와 데이터과학, 비유클리드 기하학, 게임 이론, 수리생물학, 알고리즘, 대통일 이론에 이르기까지 세상 속의 수를 찾아 떠나는 고급수학 특강이다. 수학은 어떻게 발전했고 어디까지 응용될 수 있는지, 우리의 삶에 수가 얼마나 밀접하며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알게 되면 새삼스레 놀라게 된다. 세상 속의 수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면 미래의 가능성은 더욱 무궁무진해질 것이다.
저자소개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자 게임이론의 권위자다.
그는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과 진로를 상담해주는 교수로도 유명하다.
1991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98년에는 하버드 대학 경제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마쳤다. 1998~2002년 일본 국립정책연구대학원 교수를 거쳐 현재까지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있다. 2014년에는 한국경제학회 사무국장을 역임했다.게임이론을 이용한 산업과 조직에 대한 분석, 법과 계약의 경제적 분석, 생물학과도 관련이 있는 진화론적 게임이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일본 정책연구대학원 조교수를 거쳐,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동서문제연구원 부원장, 글로벌인재학부 학부장 등을 역임했다. 대외적으로는 한국경제학회 사무국장, 한국국제경제학회 사무국장, 한국계량경제학회 사무차장 등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일상의 여러 현상들을 경제학 개념으로 풀어놓은 『경제학 비타민』, 노벨상 수상자들의 이론을 한국 경제 문제와 연결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대한민국이 묻고 노벨 경제학자가 답하다』, 엉뚱한 질문으로 창의성의 싹을 틔우는 『창의적인 사람은 성공하기 어렵다?』, 낯선 게임이론을 재미있게 설명한 『인생을 바꾸는 게임의 법칙』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LECTURE 01 세상 속의 수다 _고계원 생활 속의 수학 / 단순한 것에서 중요한 것으로 / 카오스란?패널 토의질의응답LECTURE 02 자연에 숨어 있는 수학적 질서를 찾아서 _하승열 수학은 과학의 언어다 / 복잡계 시스템의 3가지 집단 현상 / 불확실성의 정량화패널 토의질의응답LECTURE 03 수학 역사상 가장 유명한 난제, 리만 가설 _기하서 리만 가설의 배경 / 리만 가설이 어려운 이유 / 리만 가설을 시도한 수학자들패널 토의질의응답LECTURE 04 디지털 인문학과 데이터과학, 셰익스피어에서 예송 논쟁까지 _장원철 데이터과학이란? / 인공지능의 개발 / 양식측정학과 디지털 인문학 / 《조선왕조실록》과 예송 논쟁 / 셰익스피어가 사용한 단어 연구 / 알면 도움이 되는 통계 지식패널 토의질의응답LECTURE 05 고차원 비유클리드 공간으로의 초대 _황준묵 유클리드 기하학과 비유클리드 기하학 / 고차원 비유클리드 기하학 / 고차원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응용패널 토의질의응답LECTURE 06 게임 이론-인간의 행동을 예측하다 _한순구 게임 이론이란? / 인문학과 게임 이론 / 경매와 경제학패널 토의질의응답 LECTURE 07 수학과 생물학의 아름다운 만남, 수리생물학 _김재경 미분방정식과 생명현상 / 생체리듬과 수학 / 온도와 생체시계 / 신약과 생체시계패널 토의질의응답LECTURE 08 세상을 바꾼 알고리즘, 알파고와 블록체인을 넘어 미래로 _이준엽알고리즘이 가져온 변화 / 알고리즘의 역사와 응용 / 알고리즘의 미래, 인공지능 / 새로운 세계, 새로운 알고리즘을 위한 새 수학패널 토의질의응답LECTURE 09 수학의 대통일 이론? 랭글랜즈 프로그램에 대하여 _신석우랭글랜즈 프로그램의 기본 /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탄생과 발전패널 토의질의응답LECTURE 10 컴퓨터과학의 원천 아이디어가 나오기까지-튜링의 1935년 이야기 _이광근튜링기계의 등장 / 튜링의 증명 / 천재 튜링패널 토의질의응답그림 출처찾아보기